공기청정 식물-미국 나사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볼게요. 미국 나사의 Clean Air Study 그룹에서 1993년도에 발표한 자료랍니다. 벌써 20년도 더 지난 자료이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곳에서 인용되고 있는 자료. 사실 이런건 돈 안되는 연구니까 지금까지 이 연구 이외에 다른 믿을 만한 자료도 나오지 않은 실정이고…. 흠, 1990년대의 나사라면 그때 위상이 세계 최고의 연구집단이었기 때문에 이런 럭셔리한 연구를 해보았던 것 같습니다. 지금 봐도 좋아요.
러브더가든닷컴이란 곳에서 그래픽 자료로 나사에서 연구한 데이터를 정리해 놓았는데요, 그걸 바탕으로 살펴볼게요. 나사의 원문 자료는 현재는 나사 공홈에선 찾아볼 수 없지만 다행히 영문 위키에는 간단히나마 정리되어 있으니까 참고하셔도 좋구요^^ https://en.wikipedia.org/wiki/NASA_Clean_Air_Study
그럼 오늘 포스팅을 본격적으로 시작해 볼게요.
우리가 마시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대표적인 유해물질 다섯가지. 오늘 소개해들릴 나사 발표의 공기청정식물은 이러한 분자들을 흡수하여 식물 내에서 분해하는 기전을 갖추고 있답니다.
각각의 분자들에 대한 설명. 영어고 전문용어라 굳이 힘들게 읽으실 필요는 없지만, Please Note 라는 주의사항은 읽어보셔야 해요. 제가 대신 읽어보면, 오늘 소개하는 몇가지 식물들은 고양이나 강아지 등 애완동물에게 독성이 있을 수 있으니(사람에겐 무해해요) 집에 오늘 소개할 식물들을 들여놓기 전에 체크해 보라는 내용이랍니다. 식물들은 총 18가지로 딱히 순위를 매기진 않고 각각의 식물이 어떤 유해요소를 분해하는지를 표시하고 있어요. 기왕이면 다섯가지 모두 분해하는 식물이 좋겠지만, 소수의 종류를 분해하더라도 효율이 더 높을 수도 있으니 꼭 분해하는 요소가 적다고 순위가 낮다곤 볼 수 없어요.
식물의 모양. 그리고 밑에 분해하는 유해요소. 식물 이름. 학명 순으로 그림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뒤로 갈수록 분해요소가 많은 식물들이 정렬되어 있어요.
가장 마지막에 등장하는 PEAE LILY 는 우리 나라에선 스파티필럼으로 알려져 있어요. 모양도 예뻐서 인기가 많고, 위 위키 페이지에서도 대표적인 식물 사진으로 올라가 있죠. 하지만 주의하실 건 스파티필럼은 개와 고양이에게 독성이 있으니 해당 애완동물을 키우시는 분들은 주의하셔야 한답니다. 독성 여부는 아래처럼 표로 위 위키 페이지에 정리가 잘 되어 있어요^^(사진들은 클릭하시면 선명하게 원본화질로 보여요)